
[1]변수와 상수 * 변수는 프로그램 수행시 필요한 자료값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함 * 변수는 사용 전 반드시 선언을 먼저 해야 함 * 식별자는 영문 대소문자, 숫자, 밑줄 기호(_)를 이용하여 만듦 * 식별자 생성 시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음 * 상수란 의미가 변하지 않는 자료 값을 의미함 [2]데이터 타입 * 저장할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다양한 타입이있음 * 문자형 데이터타입 char * 정수형 데이터타입 short, int long, long long * 실수형 데이터타입 float, double, long double * 변수값을 출력 시 형식 지정자를 사용하여 출력할 수 있음 char = 1byte, int , long = 4byte double = 8byte 식별자는 제일앞에 숫..

main()함수 [1]함수의 정의 * 입력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고 결과를 출력, 프로그럄에서 처리할 내용을 모아두는 묶음 y = f(x) main()함수 : * 실행 가능한 하나의 프로그램에는 반드시 하나의 main()함수가 존재한다 * c언어는 헤더파일과 함수로 구성됨 [2]기본구조 (1) 프로그램기본틀 #include 헤더파일 -> main()프로그램시작점 -> 프로그램종료 / 소스파일 : .c -> .obj ->.exe (2)코드 작성 준비 소문자로 작성해야함. 대소문자를 구분. 함수의 시작과 끝은 {}. 하나의 문장끝은 ; [1] 주석문 / 프로그래머에게만 보이고 컴퓨터에게는 보이지않는다.코멘트. /* .... */ 여러줄 주석 // 한줄주석 [2]출력문 / printf(""); 표준출력장치(화명..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part 1 컴퓨터 언어란? *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일종 프로그래밍 ? : 인간이 컴퓨터에 명령하는 작업지시서를 만드는 작업 프로그램 - 하드웨어를 동작시켜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ex>스마트폰 앱, 컴퓨터 프로그램 등 [1]고급언어와 저급언어 high level ganguage : 인간중심의 언어 / low level language : 기계중심의 언어 (1)저급언어 (Low Level Language) : CPU가 처리하는 명령어와 1:1로 대응 : CPU마다 사용하는 명령어가 다름 (1)고급언어 (HIGH Level Language) : : 해당 하드웨어에 맞게 번역하는 프로그램 이용 : 유지보수가 쉬움, CPU동작 알아야할 필요없음 [2]프로그래밍 절차 컴퓨터는 인간..

콘텐츠 기획 사용자의 니즈(needs)와 제공하는 콘텐츠 간의 갭(gap)을 분석할 수 있다. 갭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콘텐츠의 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다. 갭 분석한 결과에 의해서 결정한 콘텐츠 방향성에 따라서 주요 콘텐츠 수급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필요지식 [1]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은 파편화되고 불명확한 방대한 정보를 논리적이고 응집력 있는 그룹으로 조직화하고 분류하는 기법이다. 이 기법의 결과물로는 제한된 그룹의 수이며, 기대하는 목적은 보다 더 좋은 아이디어를 발굴하거나 문제를 좀 더 이해하는 것이다. 1.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활용 유형 크게 3가지 유형에서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활용한다. (1) 아이디어 도출이 목적인 브레인스토밍 세션 (2) ..

기능(Feature) 리스트 UI 설계를 위하여 작성된 시나리오에 따라 기능을 도출 할 수 있다. 도출된 기능에 대해서 우선순위 기준을 수립하여 주요 기능을 선별할 수 있다. 우선순위 기준에 의해서 선별된 주요 기능의 상세한 내역을 작성할 수 있다. 필요지식 최소 기능 제품(Minimum Viable Product, MVP) MVP는 리스크나 투자 대비 최적의 성과를 창출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에게 핵심적인 기능을 최소화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정의하는 방식이다. 해당 용어는 프랭크 로빈슨(Frank Robinson)이 정의하였고, 스티브 블랭크(Steve Blank)와 에릭 리이스(Eric Ries)가 대중화 시켰다. MVP는 무조건적으로 적은 기능만을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가치를 제공할 수..

UI/UX 콘셉트 도출 도출된 아이디에이션(ideation)의 프토토타입 검증 결과에 따라서 확정된 UI/UX 콘셉트를 결정 할 수있다. 도출된 UI/UX 콘셉트를 반영하여 목표 고객인 페르소나(persona)를 추출할 수 있다. 설계를 위해서 UI/UX 콘셉트에 적합한 시나리오(senario)를 작성할 수 있다. 페르소나(persona) 페르소나는 사용자의 목적(goals)과 행동(behaviors)를 대표하는 실제 타깃 사용자 그룹을 가상의 캐릭터(artificail person and archetypical users)로 형상화하는 목적 지향적인(goal-directed) 인터랙션 디자인의 방법이다. 핵심적인 캐릭터의 구성요소는 니즈(motivations and needs), 목적, 환경(conte..